진공관 앰프 자작에 사용할 R-코어 트랜스포머를 처음으로 만들었던 것이 지난 2018년이었다. J-50이라 이름이 붙은 R-코어 한 조를 제이앨범(오디오퍼브의 소개 글 링크)에서 구입하여 총 두 차례에 걸쳐 출력 트랜스포머를 감아 보았다. 코어는 한 조인데 두 차례를 만들었다? 이게 무슨 소리인지 잠시 그 내력을 소개해 보겠다.
처음 출력 트랜스포머를 만들어서 지금은 사라진 6N1 + 6P1 싱글 앰플리파이어에 연결하여 쓰다가, 잠시 6LQ1 싱글 앰플리파이어에 적용하여 사용하였다. 그 뒤 다른 앰프(6V6GT 싱글)에 사용하기 위해 코일을 다 풀어내고 다시 감았다. 두 번째 시도에서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권선기를 만들어서 에나멜선을 감기도 했으니 그 수고란 이루 말할 수 없다. 너무나 손이 많이 가기에 다시 출력 트랜스포머를 만들 생각은 하지 않는다. 부끄러운 경험이지만 전원용 EI 코어 트랜스포머를 다 풀어서 코어를 한 방향으로 재조립한 뒤 싱글 출력용 트랜스포머로 개조해 본 일도 있었으니...
![]() |
보빈에 에나멜선을 감기 전의 R-코어 모습. 원본 글은 2022년 11월에 작성하였다(링크). |
이렇게 2018년부터 2024년까지 무려 만 6년에 걸쳐 R-코어 트랜스포머를 두 번 만드는 동안에도 이를 앰프에 고정하는 가장 적당한 방법을 생각해내지 못하였다. 기성품 트랜스포머를 쓴다면 다음과 같이 볼트를 사용하여 적당히 체결하면 그만이다.
![]() |
6PQ8을 사용한 푸시풀 앰프. 모양은 허름하지만 드라마 촬영 시 소품으로 쓰였다. 미술팀의 요청에 따라 생활용품을 이용한다는 제작 콘셉트에 맞추어 만들었다. 안타깝게도 그 드라마는 8회분(시즌 1) 촬영이 다 끝나고 몇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방송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 앰프의 바닥에는 드라마에 출연한 주연 배우의 사인만이 남은 채로... |
![]() |
구멍만 몇 개 뚫으면 트랜스포머 고정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기성품은 이래서 좋다. |
R-코어 트랜스포머 역시 기성품이라면 고민할 필요가 없다. 다음 사진의 것은 전원용 트랜스포머(기성품)의 사례이다.
하지만 직접 코일을 감아서 만든 R-코어 트랜스포머라면? 도대체 어디 붙들어 맬 곳이라고는 없다. 아크릴판으로 상자를 만들어서 그 안에 넣고 실리콘 같은 것으로 고정하는 방법(제이앨범의 실제 사례)을 제외한다면 말이다.
![]() |
이 트랜스포머 2개를 고정해야 한다. |
계속 머리를 굴리다가 파이프를 고정할 때 쓰이는 새들이나 U볼트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되었다. 이를 아래 그림에 표현해 보았다.
먼저 반새들 아이디어. 이 방법의 문제는 위 그림에서 빨간색 원으로 표시한 곳에서 새들과 보빈 사이에 간섭이 일어날지 여부를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호스 클램프가 사선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R-코어의 직경(대략 22 mm)보다는 큰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써야 하고, 한쪽에서만 고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PCB 서포트의 길이가 고정 강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지금으로서는 U볼트를 쓰는 두 번째 아이디어가 더 나아 보인다. 양쪽에서 M6 너트로 조이면 되니 균형을 맞추는 데에도 문제가 없고 보빈이 으스러지지 않을 정도로만 적절히 잘 조이면 된다. 실측과 계산으로 선정한 U볼트는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규격(M6 x 48 x 68 mm)이라서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입하고자 한다. 참고로 U볼트는 KS 규격이 따로 없어서 국내에서는 인치 규격으로 만들어진다고 한다.
U볼트를 먼저 구입하여 문제가 없는지 확인한 다음 고정용 구멍의 크기와 위치를 확정한 뒤 상판 설계 작업을 마무리하는 순서로 진행하면 될 것이다.
2025년 1월 18일 업데이트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주문한 U볼트가 배송되었다. 아래 사진에서 측정한 부분이 48 mm가 되어야 하나 실제로는 이보다 더 크다. 나사산이 파인 양 끝이 완벽한 평행을 이루고 있지도 않다. U볼트라는 것이 보통 강관을 고정하는 용도로 쓰이므로 외형이 그렇게 정밀할 필요는 없겠지만 도면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사진에서 보인 사각와셔의 구멍 크기와 간격을 참조하여 도면을 수정하도록 하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