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0일 일요일

Nano Ardule MIDI Controller 제작 착수

별도의 위치 사이트에 작성 중인 Nano Ardule MIDI Controller: 설계 요약 문서 

오늘부터 본격적인 제작에 착수한다. 필요한 부품은 몇 달을 거쳐서 대부분 다 구입해 두었다. 오늘은 전원선을 깔고 tactile switch 6개를 그라운드에 연결하며 I2C 1602 LCD 모듈을 연결하여 테스트하는 것까지를 목표로 하였다. 뒷면 배선용 선재가 다루기에 썩 좋지는 않아서 Burnley 솔더링 페이스트의 신세를 많이 졌다. 

Burnley의 솔더링 페이스트는 아직까지 zinc chloride 15-20%, petrolartum 60-75%라는 오리지널 조성을 그대로 지켜서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etrolatum은 바셀린의 주요 성분(100%)으로서 석유에서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 제품은 전도성·부식성이 있어서 PCB에는 쓰지 말라고 한다. 염화아연이 들어 있으니 전도성이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Is this soldering flux OK to use and where to get more like it or what should I buy instead?

세척이 필요 없는 로진 계열의 것을 쓰라고 한다. 그렇다고 하여 아직도 많이 남은 페이스트를 버릴 수는 없고... 납땜을 다 마친 뒤 세척을 해야 되겠다. 이소프로필 알콜을 한 통 사 두도록 하자.




오늘과 같은 진도라면 앞으로 최소한 두 번의 주말을 더 보내야 한다. 

  1. LED 장착
  2. 스위치 배선 완료
  3. 로타리 인코더와 microSD 카드 모듈 연결. 
  4. MIDI 입출력 회로 구성(포토커플러 및 시프트 레지스터 사용)

코드 작성 및 디버깅, 그리고 무엇보다도 적당한 케이스를 만들어 넣는 것에도 시간이 걸리겠지만... 최소한 코드 작성, 테스트 및 개선에는 챗GPT가 있어서 큰 걱정은 없다.

GM sound module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를 만드는 것 외에도 AKAI MPK mini mk2를 더욱 잘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물린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에는 너무 번거롭다.

휴대폰(안드로이드)에 USB MIDI 키보드를 연결한 뒤 G-Stomper 계열의 앱을 설치하여 쓰면 될 것 같다. 두 기기를 연결하려면 OTG 젠더가 필요하다. 갖고 있는 젠더가 잘 작동하는 것까지는 확인하였는데, 문제는 전원을 별도로 연결하기 곤란하다는 것이다. 일단은 무료인 G-Stomper Rhythm을 설치해 보았는데, 화면이 너무 작아서 불편하다. 간단한 건반 연주에는 Perfect Piano 앱도 나쁘지 않다.


2025년 8월 11일 업데이트 - I2C 1602 LCD와 LED 테스트

4개의 LED를 아두이노 나노의 D9, A0, A1, A2 핀에 연결하고 LCD에서 활성 핀을 표시하면서 0.5초씩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코드를 만들었다. 자작의 고단함을 줄이기 위해 엊그제(주말) 파워 레일을 비롯한 많은 부품을 붙여 놓았고, 퇴근 후 조금씩 나누어서 나머지 조립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그런데 단 하루도 실수 없이 지나는 날은 없다! 우선 LED의 색을 통일하지 못하였다. 아두이노 스타터 키트를 구입했을 때 두 개의 봉지에 나뉘어 담긴 LED가 색깔별로 구분된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코드를 업로드하고 불이 들어왔을 때 제각각의 색으로 빛나는 것을 보고 느낀 황당무계함이란...

게다가 LED를 빽빽하게 배열해서 보기에도 좋지 않았다. 직경 5mm라고 했으니 0.1인치 간격의 만능기판 구멍에 대해 하나 걸러 하나씩 찔러 넣으면 될 것이라고 안이하게 생각했으나, 돌출부위는 미처 감안하지 못했다. 게다가 전류제한용으로 330옴 저항을 썼더니 너무 밝다. 보기 좋게 다시 납땜을 하려니 페놀 기판의 패드가 떨어져 나갈 것 같아서 그냥 두기로 했다.

맨 왼쪽의 것은 MIDI activity check용이라서 일부러 작은 녹색 LED를 사용했다. 차라리 4개를 다 이것으로 통일하는 것이 나을 뻔하였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