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기타 이야기...
파견 근무를 하는 동안 대전 사무실에 방치되었던 스콰이어 텔레캐스터에 다시 관심을 가지기로 하였다. 이미 집에는 세 대의 일렉트릭 기타와 한 대의 베이스 기타가 있어서 대용량(?) 기타 거치대를 사지 않는 이상 수용하기가 어렵다. 파견 근무를 마치고 원 소속기관으로 복귀 후 부서가 바뀌어서 새 사무실로 기타를 들고 왔다. 기타 가방의 지퍼도 이상이 생겨서 슬라이더가 부서졌다. 이것도 자외선에 의해서 상태가 나빠지는 것인지... 가방의 지퍼를 교체하려면 보통 일이 아닌데, 검색을 해 보니 지퍼의 슬라이더만을 교체할 수 있는 수리키트인 GODO Zippy56 Zipper Repair Kit(야근N리뷰)라는 것이 있다고 하니 관심을 가져 보려고 한다. 공식판매점인 마이플래닛의 웹사이트에 충분한 정보가 공개되어 있으며,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판매 링크는 여기이다.
![]() |
지퍼의 규격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Metal MF5, Nylon CF56, Plastic PF5 및 COnceal CSCF56의 네 가지가 가장 널리 쓰이는 것 같다. 사진 출처: 야근N리뷰. |
2008년에 구입한 스콰이어 텔레캐스터는 햇볕이 잘 드는 사무실에 몇 년을 두었더니 픽가드에 황변이 일어나 아주 볼품없는 모습이 되었다. 호환 픽가드로 교체할 수도 있으니 그렇게 심각한 일은 아니다.
오늘은 클리너로 바디를 닦아내는 일만 하였다. 스트링도 갈아야 하고, 지판 청소도 해야 한다.
집 발코니에 내놓은 피아노 의자 속에 기타 튜너(Muztek MH-300C, 매뉴얼)가 들어 있는 것을 기억해 냈다. 클립튜너는 집에서 써야 하니, 사무실에 놓을 스콰이어 텔레캐스터를 위해 잊고 있었던 튜너를 꺼내기로 했다. 이 튜너는 케이블을 꽂아서 쓰는 제품으로서 메트로놈 역할을 겸한다.
새 전지를 넣었는데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다. 이런! 발코니에서 수 년 동안 극심한 온도와 습도 차이를 겪으면서 망가진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기 시작하였다. 혹시 수리가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분해를 해 보았다. 겉에서는 보이지 않는 건전지 (+)극 접점에 녹이 잔뜩 슬어 있었다. 줄로 갈아내고 재조립을 하니 비로소 전원이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저가 클립튜너와는 차원이 다른 물건이므로 잘 활용해야 되겠다.
2024년 2월에 접어들면서 블로그에 글을 쓰는 빈도가 현저히 줄어들었고, 내가 종사하는 전문 분야에 대한 글은 전혀 쓰지 못하고 있다. 연구소로 복귀한 뒤 새로운 직책을 맡으면서 예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마음의 여유를 찾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또한 맡은 책무의 무거움(?) 때문에 모든 것이 조심스럽다. 어쩌면 당분간은 취미와 관련된 일로만 블로그를 채우게 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업무 스트레스는 나로 하여금 취미에 더욱 몰두하게 만드는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기도 한다.
세미할로우(삼익 - 국산), 스트랫 타입(데임 - 인도네시아), 플라잉-V 타입(DBZ - 국산), 스콰이어 텔레캐스터, 그리고 브랜드를 알기 어려운 베이스(국산)... 보유한 기타는 전부 뚜렷한 개성을 지녔다. 하지만 구입 당시의 가격은 신품의 경우 전부 20만원 초중반이었고, 중고로 산 것은 10~11만원에 불과하다... 물론 24년 전인 2000년의 25만원(앰프 포함)은 지금 가치로 환산하면 많이 다를 것이다.
악기는 이제 그만 사 모으고 틈틈이 연습과 녹음이나 열심히 해 두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