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9월 14일 화요일

점점 까다로와지는 공공기관의 전산 보안

주말에 집에서 일을 하기 위해 사무실에서 쓰던 노트북 컴퓨터를 들고 퇴근하였다. 월요일(어제) 외부에서 있을 과제 중간 점검 발표를 준비하기 위해 파워포인트 자료를 마지막으로 점검하려는데 보안 정책에 위배된다면서 와이파이 접속이 차단되는 것이었다. 아, 드디어 이런 날이 오고 말았구나! 집에서 이더넷 케이블을 직접 연결해 보지는 않았다. 와이파이 접속이 안되는 노트북이 무슨 쓸모가 있는가?

컴퓨터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켰더니 이제는 얼굴 인식을 위해 작동하던 내장 카메라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PIN을 입력해야만 했다. 노트북이 연구소 전산망 내에 있지 않은 상황이라면 이를 잠재적인 위험 환경으로 간주하고, 입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주변 기기를 통제하는 보안 강화 모드를 강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이 이제는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지는 와이파이라 해도 말이다.

연구소 안에서 상용메일 접속이 차단된 것은 꽤 오래 전의 일이다. 아마존웹서비스와 같은 클라우드도 당연히 되지 않는다. USB 매체 사용도 매우 까다로와서 아예 쓰지 않는다. 리눅스를 설치한 컴퓨터는 상황이 약간 낫지만, 이런 사실을 함부로 발설(?)하다가는 그나마도 쓰지 못하게 될까 두렵다. 이러다가 USB 마이크로폰도 작동이 안되는 날이 오는 것은 아닐까? 사무실 데스크탑에 연결한 웹캠은 다행스럽게도 아직 작동을 잘 한다.

공공기관에서 접속하면 안되는 '나쁜' 웹사이트를 국정원에서 직접 관리하는 것이 정말 옳은 일인지 잘 모르겠다.

공공기관의 전산망 보안은 외부의 해킹 시도나 악성 코드 침투를 방지하는 것으로부터 한층 더 강화되어 근무자가 내부의 자료를 외부로 가져가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바뀌어 가는 추세이다. 물론 일반 회사는 이보더 더 강도 높은 보안 정책을 유지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문서에 자물쇠를 거는 DRM이 있고(보안 해제 권한은 몇몇 높은 사람들만 갖고 있음), 프린터도 철저하게 통제한다. 휴대폰은 당연히 보안 프로그램이 깔려 있어서 출근을 하여 회사 공간에 들어가면 카메라가 작동되지 않는다.

정부 조직은 내가 근무하는 출연연보다는 불편하고, 일반 기업보다는 약간 느슨한 정책을 쓰는 것으로 알고 있다.

아마도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외부 반출을 위해 공식적으로 거치는 절차가 있을 것이다. 문제는 연구비로 구입한 노트북이든 개인이 구입한 노트북이든 연구소 내에서 전산망에 접속하려면 보안 솔루션을 깔아야 한다는 것이다. 아주 엄격하게 말하자면, 개인 노트북을 연구소에 가져와서 연구소 전산망에 접속하면 안 된다. 회의실 근처에 있는 공개형 와이파이 정도만 써야 한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내부 리눅스 서버에 접속을 할 수 없다. 코로나 시대를 맞아서 재택 근무를 권장하면서도 실제 환경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정보 기관이나 민간 기업이 아니라면 약간은 유연한 정책을 실행하면 안 되는 것일까? 모처럼 연구비로 성능이 좋은 노트북을 구입하였는데 외부에서 쓰지 못한다면 여간 안타까운 일이 아니다. 

공식 반출 허가를 받지 않고 노트북을 외부에 너무 들고 다니는 것도 문제가 될 소지는 있다. 아예 집에다 가져다 놓고 가정용(=개인용)으로 쓰거나, 심지어는 퇴직 이후에도 반납을 하지 않는 철면피 같은 사람도 있으니 말이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