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26일 화요일

장장 일주일에 걸친 핀다이렉트 유심 개통(번호 이동)

알뜰폰, 즉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는 휴대폰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이동통신사의 망을 빌려서 저가로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다.  '핀다이렉트'는 카카오의 계열사인 스테이지파이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름으로, KT의 통신망을 이용한다. 바로 어제(2021년 10월 25일), KT가 네트워크 장애를 겪으면서 많은 이용자가 대혼란을 겪기도 했다.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많은 소비자가 혜택을 입는다고 자랑하지만, 이렇게 뜻하지 않은 오류가 발생하면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겪는다. 이럴 때에는 다양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새삼스럽게 깨닫게 된다.

스테이지파이브가 제공하는 이 저가 이동통신 서비스의 정식 명칭이 '핀다이렉트(샵?)'인지 '핀플레이'인지 혼동스럽다. 결국 같은 서비스를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것인가? 혹은 핀플레이가 정식 명칭이고 핀다이렉트'샵'은 이를 판매하는 온라인 상점인가? URL도 https://www.pindirectshop.com/과 https://www.pinplay.co.kr/가 별개로 존재한다. 이번에 번호이동을 하면서 핀다이렉트샵에 회원으로 가입했지만 핀플레이에 로그인하려면 별도로 가입을 해야 된다. 이렇게 혼동스러워서야...

카카오톡에서 핀다이렉트샵을 통해 유심을 구입한 것이 지난주 월요일이었다. 배송은 이틀 뒤인 수요일에 이루어졌다. 

노란색 나노유심은 번호이동 직전까지 쓰던 것(SKT).

개통을 위해 유심에 인쇄된 번호를 입력하니 유효하지 않은 번호라고 한다. 이제부터 고생의 시작이었다. 목요일부터 금주 월요일까지, 핀다이렉트샵 카카오톡 상담창을 붙들고 상담사가 배정되기를 기다려야 했다. 어떤 검색 결과에서는 신규가입의 경우 셀프 개통이 가능하지만, 번호 이동은 상담을 통해서만 개통이 된다고 하였다. 기존 통신사는 약간의 대기 시간이 필요하지만 상담사와 음성으로 통화를 할 수 있으니 그런 면에서는 비싼 요금제를 치를 가치가 조금은 있는 것 같다.

핀다이렉트샵에서는 실시간으로 개통이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단 휴대폰에서 정보를 입력하여 넘기면 순차적으로 접수하여 개통을 하는 시스템인 것 같다. 만약 주민등록번호를 잘못 입력했다면? 입력 및 제출 당시에는 이를 알 수가 없고, 나중에 발송되는 문자 메시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미처 모르고 있었으니, 왜 개통이 지연되는지를 묻기 위해 계속 카카오톡을 통해 상담을 신청하는 지리한 작업을 반복했던 것이다.

처음 지연의 사유는 주민등록번호를 잘못 친 것이었고, 두번째의 지연 사유는 이전 통신사의 요금 납부 정보가 틀렸다는 것이었다. 나는 당연히 은행 계좌에서 요금이 빠져나가고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 2년쯤 전에 딸아이의 휴대폰을 새로 마련해 주면서 발급받은 신용카드를 통해 납부되고 있었던 것이다!

용어의 혼란은 여기에서도 존재한다. 우리카드는 BC카드인가? 휴대폰이나 인터넷으로 결제를 할 때 신용카드를 쓰겠다고 하면 우리카드와 BC카드가 별도의 항목으로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위키에 의하면 현재의 모든 우리카드는 BC카드란다...

핀다이렉트(샵)과 핀플레이, 우리카드와 BC카드.

어찌되었든 이러한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바로 어제(월요일) 가까스로 개통에 성공하였다. 생각보다 훨씬 까다로웠기에 통신비 절감을 원하는 가족에게 이를 권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다. 그런데 어떤 MVNO는 개통 신청을 한 뒤 한 달이 넘도록 아무런 조치를 취해주지 않는다니 그것보다는 나은 것 아닌가? 아이즈모바일이라는 MVNO 업체에 개통 신청을 하고 한달이 넘게 기다리다 핀플레이로 갈아탄 사람이 남긴 기록을 보라. 이러니 수많은 MVNO 중 어느 것을 택해야 하는지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으로는 카카오톡을 통한 개통 상담을 거치지 않고 PC 환경에서 셀프 개통(특히 번호이동)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내가 선택한 요금제는 LTE 통신망을 이용하는 '데이터 안심 15GB+ (기프티쇼)'이다. 월 납부액은 부가세 제외 2만원. 5G망을 쓰려면 월 27,000원의 '5G 슬림 10GB+'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내가 사용하는 자급제폰인 갤럭시 M12는 LTE 전용이다. 5G 서비스가 그렇게 절실한 것일까? 9월 2일 머니투데이에 실린 기사를 보자.

LTE와 비교하면 5G는 평균적으로 5배가 더 빠르다고 한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이를 체감할 서비스가 아직 흔치 않다는 것이 불만의 원인이라고 한다. 빨라도 쓸 데가 없다는 것. 결국 현대의 기술 발전은 소비자가 제시하는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함이 아니라, 특별히 불만이 없는 소비자에게 부족함을 느끼게 하여 수요를 증대하기 위함이 아니던가?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