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9월 29일 토요일

데스크탑 리눅스는 죽었는가?

우분투 안에 다시 다른 버전의 우분투를 설치해 두고, 이만하면 참 쓰기 편해졌다고 생각하면서 구글에서 글들을 찾아 읽던 도중 다소 암울한 분위기의 글을 접하게 되었다.

"데스크탑 리눅스는 죽었다"

리눅스를 커널까지만 제한하여 볼 것인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응용프로그램 전반을 통틀어서 일컬을 것인가에 따라 이 글이 주는 의미는 다르다. 최소한 리눅스 재단에서는 초기의 정신에 맞게 자유로움에 입각하여 커널을 개발, 배포하고 있다. 문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배포판이 너무나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고, 써드파티 개발자들이 힘겹게 뭔가를 만들어 놓으면 또 육개월만에 새로운 삽질(?)을 시작해야 한다. 예전보다 많이 편리해졌다고는 하나, 특히 데스크탑 리눅스가 가야할 길은 아직도 멀고, 점유율 1%의 벽을 여전히 넘지 못하고 있다. 서버쪽은 모르겠지만, 데스크탑 리눅스는 도무지 수익을 내기 어려운 현실인 것이다.

이제 겨우 우분투에서 데스크탑 리눅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감지하고 익숙해지려고 노력하는 중인데, 만약 캐노니컬의 재정이 악화되어 더 이상 우분투를 쓰지 못하게 되는 날이 올까? 그러면 다시 밋밋한 CentOS로 돌아가서 가상머신 내의 윈도우즈로 모든 작업을 해야 하나? 아니면 서버는 리눅스 서버는 따로 두고 다시 예전처럼 윈도우 PC에서 Xmanager로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나?

개발자도 살고, 회사도 적정 수익을 내고, 일반 사용자도 만족할 수 있는 그런 생태계가 데스크톱 리눅스에서도 실현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자유와 오픈소스라는 고유한 철학을 계속 지켜나가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집단의 규모가 일정 이상이 되면 자발적 참여만으로 문제가 다 해결되지 않는다. 가벼운 마음으로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터미널 창은 필수이고 gcc로 뭔가 컴파일을 해야 해..."하는 진입 장벽을 만들 수는 없지 않은가. 모두가 알아서 삽질을 하고 고쳐나가는 시스템은 자발적인 소수만으로 집단이 운영될 때 통하는 이야기일 것이다.

물론 많은 리눅스 관련 회사들은 데스크탑 시장에 대해서 나보다는 더 심각하게 고민을 하고 또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고민하고 있을 것이다...

2012년 9월 28일 금요일

우분투 안에 우분투 설치

우분우 최신 버전의 인터페이스는 10.x 버전과 많이 다르다. 그놈 데스크탑 환경은 Unity로 바뀌었고, 편리하게 이용하려면 발상의 전환을 필요로 하는 것 같다.



이 환경을 언젠가는 익혀야 할 것이다. 현재 데스크탑으로 쓰는 우분투 10.04 기반의 바이오리눅스가 영원할 리도 없지 않은가? 12.04는 처음 나온 직후에는 불안정한 요소가 다소 있었지만, 12.04.1은 어느 수준으로 안정화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서 VirtualBox에 윈도우 7에 이은 두번째의 가상 머신으로서 우분투 12.04.1을 설치하였다. 화면 해상도는 게스트 확장을 설치한 이후에 실제 모니터에 맞게 맞출 수 있었다.

터미널 창의 개념이 아예 없어져 버린 것일까? 호스트의 HDD에 접근하려면 어떻게 하였었더라? 활용팁을 기록해 나가면서 새로운 마음으로 공부를 하자. CentOS는 서버와 공식 연구 업무용으로 손색이 없지만, 데스크탑 용도로는 조금 불편하고 심심한 것은 사실이니까.

2012년 9월 25일 화요일

VirtualBox를 옮기기가 왜 이렇게 어려운가(I/O cache 문제)

바이오리눅스 6.0(우분투) 환경에서 VirtualBox로 윈도우7을 구동하고 있다. ext4 파일시스템에 가상머신을 만들어 사용하면 부팅을 할 때마다 계속 경고 메시지가 나온다.

The host I/O cache for at least one controller is disabled and the medium '/home/hyjeong/VirtualBox VMs/Win7 VM/Win7 VM.vdi' for this VM is located on an ext4 partition. There is a known Linux kernel bug which can lead to the corruption of the virtual disk image under these conditions.

Either enable the host I/O cache permanently in the VM settings or put the disk image and the snapshot folder onto a different file system.

The host I/O cache will now be enabled for this medium.



VM을 ext4로 포맷된 두번째 HDD로 옮기면 달라질까 싶어서 방법을 여러가지로 알아 보았으나 도무지 잘 모르겠다! 가상 머신을 이동하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 않다. 구글을 위져보니 설정에서 host cache를 enable로 체크하면 된다는 글(여기)을 보고 그대로 따라해 보니까 비로소 더 이상의 에러가 나오지 않게 되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면, VirtualBox 관리자에서 설정->저장소를 택하면 IDE 컨트롤러와 SATA 컨트롤러가 보이는데, 후자에서 '호스트 I/O 캐시 사용하기'가 체크되어 있지 않았기에 이를 클릭하여 체크 상태로 만드는 것으로 해결이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조치가 문제를 원론적으로 해결한 것인지, 혹은 임시방편인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사실 이 문제는 버추얼박스를 처음 쓸 때부터 접했던 것이라 항상 찜찜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을 내리자면, ext3 파일시스템으로 가상머신 이미지(?)를 옮기지 않고도 이 문제는 해결 되었다.

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으로 사진 찍어 올리기

아이패드 후면의 사진기는 5백만 화소에 지나지 않는 소박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지만, 촬영 즉시 대화면으로 사진을 볼 수 있다는 것이 매력이다. 더군다나 레티나 디스플레이의 섬세한 화면은 일반 액정 모니터에서 대하던 화질과는 매우 다르다.  웹에 직접 올릴 목적이라면, 일단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서 리사이즈 등의 작업을 거친 뒤 컴퓨터에 연결하는 것보다는 아이패드로 촬영하여 최소한의 후작업을 하여 와이파이 환경이 있는 곳에서 올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렇다면 사진을 등록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공개하는 웹 앨범 서비스로는 무엇이 가장 좋을까? 구글 사용자로서 picasa가 가장 적당할 것이다. picasa는 웹 앨범이자 공유 사이트이기도 하고, PC 환경에서 이미지를 편집하고 organize하는 동시에 웹 앨범에 업로드하는 도구이기도 하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리눅스에서는 picasa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못하므로, 오로지 웹 환경에서만 접근해야 한다.

사실 구글이 내놓은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의 환경에 아직 익숙하지 못하다. 구글 프로필, 구글 플러스, 피카사... 이런 것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 아직 감을 잡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확실하게 그 기능을 이해하여 잘 활용하고 있는 것은 지메일, 구글 드라이브, 그리고 캘린더 정도이다. 사진을 어떻게 올리고 앨범은 어떻게 구성하고 또 공유는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대해 소상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공유에도 몇 가지의 단계가 있어서 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지극히 개인적인 사진을 전세계에 공개해 버리는 실수를 범할 수 있다.

아이패드 환경에서 사진을 관리하고 또 picasa 등의 웹 앨범에 올리는 기능을 하는 앱이 꽤 많이 공개되어 있는데, 대부분은 유료이다. 어제 picflick이란 앱의 무료 버전을 받아서 시험을 해 보는 중이다. 공부할 것이 꽤 많다. 먼저 "앨범"의 정의부터 확실해 내려야 할 듯.

그런데 조금 수고를 들여 검색을 해 보니까 picflick과 같은 제3의 프로그램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Google+를 안드로이드 기기나 아이패드에 설치한 뒤 자동업로드(와이파이 환경에서만 작동하도록 설정 가능)를 활성화시키니 휴대기기에서 새로 찍은 사진은 자동으로 Google+의 "자동 업로드"에 올라오게 된다. 이는 기본적으로 공유하기 전까지는 자신에게만 공개가 되며, 앨범으로 보낼 수도 있다. 매우 지능적이다. 큰 사진의 경우 해상도는 자동으로 2048x2048로 조정되고, 용량에는 한계가 없는 듯.





2012년 9월 20일 목요일

아이패드에 MIDI 키보드 콘트롤러 연결

GarageBand를 드디어 구입하다. 왜 이것이 최고의 앱이라는 평을 듣는지 알 것도 같다. 별다른 설명 없이도 사용 가능한 직관적이고도 단순명료한 인터페이스, 나름 괜찮은 음질, 그리고 문자 그대로 '스마트'한 기타 플레이어...

캐비넷 속에서 오랫동안 잠자고 있었던 CME U-Key(49건반)를 꺼내어 전원 어댑터를 연결한 뒤, 카메라 연결킷을 경유하여 USB 케이블을 연결하였다. 일반 PC에 연결한 소프트 신스라면 MIDI 입출력을 조정해 줘야 되겠지만, 연결과 GarageBand의 실행만으로 OK! 소리가 난다, 소리가!

아이패드와 더불어 구입한 것은 몇 개의 앱과 카메라 연결킷밖에 없다. 워낙 갖고 있던 자잘한 장비가 많아서 이리저리 연결하여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2012년 9월 18일 화요일

Dropbox를 쓸 수 없다니...

Dropbox의 폴더가 며칠 전부터 동기화가 되지 않고 있다. 국정원 보안 지침에 따라서 연구소 전산정보센터에서 사이트를 막은 것으로 생각된다. 보안이 중요한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지만, 모바일 오피스 시대를 열어가는 이 시대에 이렇게 규제 일변도로 나아가도 될까?

[ZDNet Korea] 국정원과 방통위의 황당한 클라우드 이야기
[ETNEWS] 한국 IT 신기술 'STOP' 시킨 범인은 "국정원?"

국정원의 우려처럼, 클라우드 서비스는 정말 국가 사이버안보에 대한 위협 요소일까? 이는 교통사고가 걱정되니 자동차를 전부 없애고 걸어다니자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2012년 9월 16일 일요일

아이패드에 일렉기타 연결하기


IK Multimedia의 iRig나 심스뮤직의 i-ROCK을 사용하면 아이패드에 일렉기타를 연결하여 AmpliTube 등의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내가 지금껏 아이패드를 위해 구입한 악세사리는 오직 카메라 연결킷이 유일하다. 여기에 베링거 USB audio interface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말을 듣고 시도를 해 보았다.

나에게는 최저가 오디오 인터페이스인 UCA200이 있다. 헤드폰 연결을 위한 단자조차 없기에, RCA 오디오 출력 단자에 연결하는 Y-cable(female)을 이용하여 이어폰을 연결하고 있다. 별도의 증폭이 이루어지지 않으니 음량이 부족한 면이 있다.

기타는 액티브 DI box를 통해 UCA200에 연결한 뒤, 카메라 연결 킷에 꽂았다. 앱스토어에서 AmpliTube Free를 다운로드하여 작동을 시켜 보았다. 소리는 아이패드의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나오지 않고 UCA200을 통해서만 나온다. AmpliTube Free에 기본적으로 들어 있는 StompBox는 너무 적다. 사용자 등록을 하면 Free distortion만 하나 추가할 수 있을 뿐.... 추가로 구입하려면 몇 달러 씩은 소요된다. PC 버전의 AmpliTube에서 이펙터를 추가 구입하는 비용보다는 많이 싼 편이다. 아이패드용 AmpliTube 앱 정식버전은 $19.99이다.

일렉기타->DI box->UCA200->아이패드로 연결하면 작동은 잘 되는데 연결하는 것이 너무 많고 무거우며 거추장스럽다. 저 시커면 LDB-101 DI box는 아예 금속 덩어리 아니던가!

iRig를 더욱 단순화시킨 국산 제품인 i-Cable이라는 것도 있다.

http://www.zound.co.kr/shop/shopdetail.html?branduid=207030

UCA200을 랩탑에 연결하여 AmpliTube Free PC 버전을 작동시키는 경우,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올라오지 않아서 제어판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전용 드라이버와 ASIO4ALL이 함께 깔려 있으면 더욱 신경을 써 줘야 한다. 아이패드의 경우는 꽂기만 해도 단박에 작동을 하니까 상당히 편하다.

i-Cable/i-ROCK은 25,000원 정도의 가격에 팔리고 있다. 하나 살까? 차이점이 있다면 UCA200은 자체적인 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통해서 신호가 아이패드로 들어간다는 점이고, 케이블 형식의 인터페이스는 아날로그 신호가 아이패드로 들어가서(헤드세트 잭을 통해서 들어가므로) 비로소 디지털로 전환된다는 점이다.

UCA200의 단점은... 케이블이 너무 길어!

[2012년 9월 17일 추가 작성] 카메라 연결킷을 통해 아무 USB DAC이나 연결한다고 다 작동이 되는 것이 아니었다. 플랜트로닉스의 USB 헤드셋을 연결해 보았으나 이번에는 소리가 헤드셋을 통해 나는 것이 아니라 아이패드의 내장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온다.

2012년 9월 15일 토요일

아이패드로 블로그에 글 쓰기

아이패드의 웹 브라우저(사파리 또는 크롬)로 네이버 블로그에 접속한 다음 글을 작성해 보니 사진을 올릴 수가 없다. 앱스토어에서 네이버 블로그 앱을 찾아 보았지만 아이폰용 앱밖에 없어서 아이패드의 너른 화면을 제대로 쓰지를 못한다.

아이패드는 화면의 해상도가 충분히 높기 때문에 PC 버전의 웹 화면을 그대로 뿌려도 되겠지만 글 작성이나 파일 업로드를 위한 액티브X, 그리고 플래시 때문에 현실적인 제약이 있다. 또 어떤 웹 페이지는 모바일 페이지로만 접속이 되는 것 같기도 하고.

스마트폰과 PC의 중간쯤 되는 위치라서 간혹 어정쩡한 위치에 자리매김을 하는 듯. 되도록이면 웹 페이지는 접속하는 환경에 따라 너무 달라지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단, 화면이 작은 스마트폰은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을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을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아이패드로 보내는 기능이 혹시 없는지 찾아 봐야 되겠다.

2012년 9월 5일 수요일

Facebook의 폐해

현재 나는 페이스북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잠깐 사용한 적이 있기는 한데, 그 이유는 무슨 특별한 계기나 직접적인 관심이 있어서가 아니었다. 서울대 천 모 교수님이 페이스북을 처음 사용하시면서, 실수로 이메일 주소록에 있던 모든 사람들에게 친구 초대의 메일을 뿌리게 만든 것이 화근이었다. 그래서 조금씩 페이스북을 사용하다가 밀려드는 메일 푸시에 지쳐가기 시작했고(메일 알림 기능만을 해제할 수도 있었겠지만) 결국은 완전히 탈퇴하고 말았다.

그 이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처럼 정신을 산란스럽게 하는 서비스를 완전히 잊고 있었는데, 오늘 하루 동안 나와 친구가 되기를 희망하는 사람이 있다는 메일이 두 개 날아왔다. 여기에서 두 가지 의문점이 생겼다. 첫째, 나는 페이스북을 완전히 탈퇴했다고 믿고 있는데, 어떻게 내 메일 주소로 연락이 온 것일까? 두번째, 정말 상대방이 나를 친구로 추가하기 위해 선택을 한 것일까? 두 메일 중 하나는 아들로부터 온 것이니, 오늘 학교에서 돌아오면 물어볼 생각이다.

아무리 생각을 해 봐도 내 프로필이 탈퇴 이후에도 페이스북에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친구 안내 메일의 끝부분에는 이런 메일을 앞으로 받지 않으려면 unsubscribe를 하라는 안내와 링크가 붙어 있다. 일단은 다시 탈퇴를 해 본다.


2012년 9월 4일 화요일

Office2 HD 구입

아이패드용의 두번째 유료 앱으로서 Office2 HD를 구입하였다. iWork 패키지가 정답일 수도 있겠지만, 가격이 좀 부담스럽다. MS Office 파일과의 호환성도 좋은 편이고, 가격도 저렴하다. 사이즈가 큰 파일은 튕겨낸다는 보고가 있기는 하다.

영문이지만 도움말도 충분히 지원된다. 이 앱에서 지원하는 기능들이 iWork에도 그대로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가령 와이파이를 통해 PC에서 아이패드의 로컬 파일을 꺼내오는 기능 같은 것.

구글 드라이브나 드롭박스는 잘 지원하고 있는데, iCloud와는 어떻게 연동되는지를 모르겠다. 아니, 정확히 말해서 내가 iCloud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자신이 없다. 다큐먼트나 프레젠테이션 파일 저장소로서 iCloud를 쓸 수 있다는 것인가? 그렇다면 iWork만 이것이 가능한 것일까, 아니면 Office2 HD도 그렇다는 뜻일까?

iCloud 문서의 특징은 여러 기기에서 동기화를 해 준다는 것이지, 단순한 저장공간으로서의  의미는 아닌 것으로 보이는데... 아, 잘 모르겠다.

Google+ 일단 해지..그러나 곧 재가입

더 이상 사생활이 없는 사회라고 하는데, 나는 세상을 거꾸로 살고 있는 것인가?

구글 플러스(이하 g+이라 하겠다)의 여러 서비스들에 아직 적응을 하기 어렵고, 친구를 만들고 공유를 하고... 이런 것들이 부담스러워서 일단은 해지를 하고 말았다.

g+을 해지하면 웹 앨범을 사용하는 것도 불편해지는 것으로 보이는데... 아니, 조금 더 심각하게 생각을 해보자. 가족이나 일상의 사진을 공개된 장소에 올리는 것이 정말 올바른 것인지, 혹은 안전한 것인지도 고민을 해 봐야 되겠다.

공개 프로필을 만드는 것은 나도 찬성을 하는 바이다. 하지만 행아웃이나 서클 같은 서비스는 아직 익숙하지가 않다. 페이스북도 초기에 조금 하다가 말았고, 트위터는 전혀 하지 않는다. 나의 목적에 가장 잘 맞는 서비스는 무엇일지...

g+의 이름은 영문으로 해야 될까, 아니면 국문으로 해야 될까? 조금 더 고민을 해 본 다음에 결정하도록 하자.

[2012년 10월 5일 업데이트]

구글+에 재가입하여 조금씩 활동 범위를 넓혀 나가고 있다. 처음에는 이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이제서야 조금 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