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공공기관의 업무용 이메일을 외부 서버에서 불러와서 쓰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나름대로의 합당한 이유가 분명히 존재하지만, 아직까지는 기술적으로 막혀있지는 않다. 나의 경우는 Gmail 환경에서 연구소의 메일을 POP3 기능으로 불러와서 읽는다. 따라서 출장을 나가거나 휴일에 집에서 쉬고 있다 하더라도 메일을 거의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음부터 Gmail에 업무용 메일을 연결하여 사용할 생각은 없었다. 원래 우분투에서 에볼루션을 사용해 왔는데, 메일을 사무실에서 한번 읽어 버리면 집이나 바깥에서는 확인을 할 수가 없었기에 과감하게 Gmail로 전환했던 것이다.
최근 며칠 동안 연구소 메일을 Gmail로 제대로 불러오지를 못하고 있다. 그래서 임시 방편이라 생각하고 다시 에볼루션으로 돌아왔는데, 이러한 작은 환경의 변화가 이메일을 대하는 태도를 달라지게 하고 있다. Gmail 환경에서 메일을 읽게 되면 중요한 정보가 있는 메일도 마치 광고성 스팸 메일 대하듯이 제목줄만 대충 보고 건너뛰게 되는데, 에볼루션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메일을 보게 되니까 좀 더 집중해서 보게 된다는 것이다.
이메일 자체가 일의 흐름을 막는 요소도 분명히 있다. 여기에서는 그 폐해 자체를 다루자는 것은 아니다.
돌이켜보니 내가 에볼루션을 떠나게 되었던 또다른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첨부된 한/글(HWP) 파일 때문이다. 리눅스 환경에서는 그동안 한/글 파일을 직접 열 수가 없어서 다시 버추얼 박스로 들어가야만 했었다. 지금은 리눅스용 한/글 2008을 우분투에 성공적으로 성치해 놓았기에 이런 불편함을 감수할 필요가 없다.
이것 외에도 에볼루션이 불편한 점이 있다. 한글화가 아직 완벽한 것을 아니라서, 마지막 글자가 완성되지 않고 메일을 보내면 제목이나 본문에서 그 글자가 잘려나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꼭 엔터나 공백을 넣는 버릇이 생겼다. 또 이메일 주소록을 따로 관리해야 한다는 점이 불편하다. 이러한 점에서 Gmail의 강점이 있다. 일단 편지를 한번 보냈던 사람은 자동으로 주소록에 등재되고, 다이얼로그 형태로 메시지가 관리되므로 나중에 찾아 읽을 때 이것이 어떤 메시지로부터 시작된 글타래인지를 파악하기가 좋다.
현재의 POP3 연결 장애가 일시적인 것인지, 혹은 연구소 측의 메일 정책에 변화가 생겨서 그런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사소한 일로 인해서 다시 전용 이메일 클라이언트 환경으로 돌아오기는 했는데, 다시 Gmail로 가게 될 것 같지는 않다. 보안을 좀 더 중요시하는 공공기관의 정책에도 부응하고, 업무환경을 떠나서는 이메일을 확인하지 않으려는 게으름(?)도 일조를 하는 셈이다.
2014년 2월 28일 금요일
2014년 2월 23일 일요일
최근 몇 달 동안의 오디오 방황기
...라고 한다면 흔히 오디오 '바꿈질'을 연상할 터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고급품은 아니지만 어쩌다보니 갖고 있는 오디오의 종류가 좀 많을 뿐이고, 최근에 아주 약간의 투자를 했을 뿐이다. 친구를 통해서 알게된 진공관 앰프 제작자에게 소출력 진공관 앰프를 주문제작하여 침실의 주력 오디오로 삼았고, FM 안테나를 구입해서 창틀에 달아 놓은 것이 전부이다. 자리만 차지하고 있던 인켈 스피커 시스템 SH-950은 필요한 사람에게 그냥 양도하기로 하였다.
음원은 FM 방송, CD, 아이패드(린 라디오 및 멜론) 등 다양하게 듣는 편이다. 옥외에 안테나를 설치한 이후로 FM 방송을 듣는 재미가 더욱 커졌다. 연결하고 말고 할 것도 없이 그냥 전원 스위치만 올리면 되니까.
FM 방송의 수신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나도 나름대로 노력을 한 편이었다. 가장 먼저 점검해 볼 것은 튜너의 상태이고, 그 다음이 안테나이다. 내 경험으로는 막선을 아무렇게나 연결해 놓는다고 해서 크게 나아지지는 않는다. 방송용 안테나가 장애물 없이 보이는 지역에 거주하는 혜택을 누리고 있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안테나를 창 밖에 설치하고 동축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다른 오디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CD 플레이어의 픽업을 가는 것이 의외로 돈이 많이 든다. 처가에서 얻어온 RV-7050R 돌비 프로로직 리시버 앰프 세트에는 원래 LDP가 딸려 있었는데, 픽업 교체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교체 주기도 너무 짧아서 과감히 내다 버리고 저가형 DVDP로 대신하여 음악을 듣고 있다.
오늘 인터넷을 뒤져보니 옥션에서 픽업을 구입하여 직접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교체기가 올라와 있으니 참고하자. 거실용 오디오(인켈 AX-9300 세트)에 달려있던 전용 CDP를 아직 버리지는 않았으니.
그럼 2014년 2월 말 현재 내가 집에서 사용하는 오디오의 목록을 나열해 보겠다. 아이들 방에 있는 것들은 논하지 않겠다. 침실[1] [2]라 함은, 침실에 두 개의 오디오 시스템이 있다는 뜻이다.
음원은 FM 방송, CD, 아이패드(린 라디오 및 멜론) 등 다양하게 듣는 편이다. 옥외에 안테나를 설치한 이후로 FM 방송을 듣는 재미가 더욱 커졌다. 연결하고 말고 할 것도 없이 그냥 전원 스위치만 올리면 되니까.
FM 방송의 수신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나도 나름대로 노력을 한 편이었다. 가장 먼저 점검해 볼 것은 튜너의 상태이고, 그 다음이 안테나이다. 내 경험으로는 막선을 아무렇게나 연결해 놓는다고 해서 크게 나아지지는 않는다. 방송용 안테나가 장애물 없이 보이는 지역에 거주하는 혜택을 누리고 있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안테나를 창 밖에 설치하고 동축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다른 오디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CD 플레이어의 픽업을 가는 것이 의외로 돈이 많이 든다. 처가에서 얻어온 RV-7050R 돌비 프로로직 리시버 앰프 세트에는 원래 LDP가 딸려 있었는데, 픽업 교체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교체 주기도 너무 짧아서 과감히 내다 버리고 저가형 DVDP로 대신하여 음악을 듣고 있다.
오늘 인터넷을 뒤져보니 옥션에서 픽업을 구입하여 직접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교체기가 올라와 있으니 참고하자. 거실용 오디오(인켈 AX-9300 세트)에 달려있던 전용 CDP를 아직 버리지는 않았으니.
그럼 2014년 2월 말 현재 내가 집에서 사용하는 오디오의 목록을 나열해 보겠다. 아이들 방에 있는 것들은 논하지 않겠다. 침실[1] [2]라 함은, 침실에 두 개의 오디오 시스템이 있다는 뜻이다.
- 거실: 인켈 AX-9300 세트. 요즘 CD를 인식하지 못하는 CDP와, 쓸모가 거의 없는 테이프 데크는 발코니에 방치한 상태이다. 스피커는 오디오와 짝을 이루어서 구입했던 ISP-3000이 여전히 연결되어 있다. 삭아버린 엣지를 손수 교체한 바 있다. 주로 FM을 듣는 용도로 사용한다. T자형 실내 안테나보다 2번 AIWA 오디오에 딸려온 막선형(?) 실내 안테나가 더 낫다. 창문이 훨씬 큰 거실에 설치를 했기에 수신상태가 더 좋은지도 모르겠다. 실제로는 막선을 매우 길게 연결하여 발코니까지 빼서 사용했었는데, 이보다 수신 상태가 좋지는 않았었다. 아마도 이 막선은 천장에 바싹 붙여 놓았기에 설치를 하나마나인 상태였는지도 모른다.
- 침실[1]: AIWA AWP-ZX7. 일체형 오디오. 이번에 새로 설치한 안테나의 혜택을 바로 입고 있는 오디오이다.
- 침실[2]: 이영건님 제작의 진공관 오디오. 주로 아이패드를 오디오 인터페이스 경유로 연결하거나, DVDP를 연결하여 듣는다. 원래 액티브 스피커인 T&V Vertrag(초기모델)의 앰프부를 떼어내어 패시브 스피커로 만들어서 진공관 오디오에 연결하였다.
- [무용지물]인켈 RV-7050R. 잡음이 심해서 도저히 듣기가 곤란하다. 원래 딸려있던 LDP는 위에 이미 적었듯이 버렸고, 그래픽 이퀄라이저와 테이프 데크가 남아있다. 스피커 시스템(SH-950)은 3월 중순에 다른 주인에게 넘겨질 예정이다.
카세트 테이프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 아이가 태어날 때 병원에서 녹음해 준 첫울음소리 테이프만 남기고 다 정리를 할까?
2014년 2월 21일 금요일
FM 수신 품질을 높이기 위한 안테나 구입
현재 우리집의 FM 수신 품질이 극악하게 나쁜 정도는 아니다. 물론 고급 튜너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치~(혹은 쉬~)' 하는 약한 잡음이 깔린 상태에서 수신이 된다. 대전 MBC는 매우 잘 잡히나, 클래식 방송(청주 FM, 102.1 MHz, 식장산 송출)이 약간 불만스럽다. 계룡산에서 송출하는 대전 KBS FM(98.5 MHz)의 수신이 더 불량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이야기이다.
조건이 나쁘면 스테레오가 잘 안잡히는 경우도 있어서, 혹시 별도의 안터나를 구입하면 어떨까 하는 호기심을 갖고 있었다. 서울 출장 길에 잠시 용산에 들러서 다음의 제품을 구입하였다(AVCOREA, WS- FM01).
http://www.avcorea.co.kr/shop/item.php?it_id=1201914943
동축 케이블은 7 미터로 끊어서 가져왔다. 혹시 음질에 별 개선이 없으면 발코니 밖으로 빼기 위함이다. 아직 충분히 테스트할 시간이 없어서 우선은 발코니 안에 자리를 잡았다. 소리가 더 두툼해지고 좋아진 것 같기는 한데, '치~'하는 잡음이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는다.
안테나 고정용 부자재는 따로 구입하지 않았기에, 만약 발코니 밖으로 내어 놓으려면 약간 궁리를 해야 한다. 에어콘 배관용 구멍이 있어서 방->발코니로 선을 빼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다만 발코니 밖으로 나가려면 창틀 가장자리의 실리콘 마감을 조금 떼어내야 할 것이다.
FM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계측기가 있는 것도 아니고, 대충 소리를 들어가면서 안테나의 자리를 잡아야 한다. 호기심에 잠시 안테나 이론에 관한 글을 (그것도 쉽게 씌여진 것으로) 찾아 보았는데, FM 음악방송이나 듣는 일반인이 함부로 접할 분야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론 자체도 어렵고, 최고의 안테나 기술이 이미 완성된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쉬운 안테나 이론
사족: 최근 KBS 클래식 FM 진행자가 대폭 바뀐 모양이다. 개인적으로는 멘트가 너무 많은 음악방송을 싫어하는데, 그저께인가 초대 게스트가 너무 설명적인 말을 많이해서(아마 하이든에 대한...) 짜증이 좀 났다.
자정 시보 울리기 직전의 "수신료 현실화" 광고는 없어졌나? 라디오 방송이야말로 수신료의 혜택을 직접적으로 입고 있는 분야이긴 하지만, 수신료 현실화라는 말을 듣기는 거북하다. 그냥 '수신료 인상'이라고 하고 말 것이지. '공공기관 선진화(혹은 정상화)', '수신료 현실화', 다 비슷한 의도의 말 아닌가? 공공기관 구조조정(인원감축 또는 기능 조정), 수신료 인상을 그저 귀에 거슬리지 않게 만드는 말장난 아닌가.
실용오디오 사이트에서 FM 수신에 대한 유용한 글이 있어서 링크를 건다.
http://www.enjoyaudio.com/zbxe/index.php?mid=tunerbuffs&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EB%8C%80%EC%A0%84&document_srl=1024504
[2014년 2월 23일 추가]
안테나를 옥외에 설치 완료하였다. 발코니 안에 대충 놓아둔 것과는 다르다. 구글 플러스에 사진을 올렸다. 원래 블로거에 글을 쓴 뒤 구글 플러스에 연결되게 해야 하는데 게으름 덕택에 이렇게 되었다.
조건이 나쁘면 스테레오가 잘 안잡히는 경우도 있어서, 혹시 별도의 안터나를 구입하면 어떨까 하는 호기심을 갖고 있었다. 서울 출장 길에 잠시 용산에 들러서 다음의 제품을 구입하였다(AVCOREA, WS- FM01).
http://www.avcorea.co.kr/shop/item.php?it_id=1201914943
동축 케이블은 7 미터로 끊어서 가져왔다. 혹시 음질에 별 개선이 없으면 발코니 밖으로 빼기 위함이다. 아직 충분히 테스트할 시간이 없어서 우선은 발코니 안에 자리를 잡았다. 소리가 더 두툼해지고 좋아진 것 같기는 한데, '치~'하는 잡음이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는다.
안테나 고정용 부자재는 따로 구입하지 않았기에, 만약 발코니 밖으로 내어 놓으려면 약간 궁리를 해야 한다. 에어콘 배관용 구멍이 있어서 방->발코니로 선을 빼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다만 발코니 밖으로 나가려면 창틀 가장자리의 실리콘 마감을 조금 떼어내야 할 것이다.
FM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계측기가 있는 것도 아니고, 대충 소리를 들어가면서 안테나의 자리를 잡아야 한다. 호기심에 잠시 안테나 이론에 관한 글을 (그것도 쉽게 씌여진 것으로) 찾아 보았는데, FM 음악방송이나 듣는 일반인이 함부로 접할 분야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론 자체도 어렵고, 최고의 안테나 기술이 이미 완성된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쉬운 안테나 이론
사족: 최근 KBS 클래식 FM 진행자가 대폭 바뀐 모양이다. 개인적으로는 멘트가 너무 많은 음악방송을 싫어하는데, 그저께인가 초대 게스트가 너무 설명적인 말을 많이해서(아마 하이든에 대한...) 짜증이 좀 났다.
자정 시보 울리기 직전의 "수신료 현실화" 광고는 없어졌나? 라디오 방송이야말로 수신료의 혜택을 직접적으로 입고 있는 분야이긴 하지만, 수신료 현실화라는 말을 듣기는 거북하다. 그냥 '수신료 인상'이라고 하고 말 것이지. '공공기관 선진화(혹은 정상화)', '수신료 현실화', 다 비슷한 의도의 말 아닌가? 공공기관 구조조정(인원감축 또는 기능 조정), 수신료 인상을 그저 귀에 거슬리지 않게 만드는 말장난 아닌가.
실용오디오 사이트에서 FM 수신에 대한 유용한 글이 있어서 링크를 건다.
http://www.enjoyaudio.com/zbxe/index.php?mid=tunerbuffs&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EB%8C%80%EC%A0%84&document_srl=1024504
[2014년 2월 23일 추가]
안테나를 옥외에 설치 완료하였다. 발코니 안에 대충 놓아둔 것과는 다르다. 구글 플러스에 사진을 올렸다. 원래 블로거에 글을 쓴 뒤 구글 플러스에 연결되게 해야 하는데 게으름 덕택에 이렇게 되었다.
2014년 2월 19일 수요일
NCBI에 Genome Sequencinging 자료 올리기
바이오프로젝트 등록, WGS 제출, SRA 제출... 모두 밥먹듯이 하는 일이지만 매번 인터페이스가 조금씩 바뀐다. 이번에는 Bacillus thuringiensis serovar israelensis의 한 종류에 대한 draft assembly를 등록하는 중인데, 균주 분리 장소와 일자를 적는 난에서 막히고 말았다. 만약 내가 처음으로 그 균주를 분리 동정한 사람이라면 이러한 정보를 적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culture collection에서 입수한 균주를 시퀀싱한 경우에는 상당히 난감하다. 홈페이지에도 해당 정보가 없고, 논문에서도 정확히 알기 어려운 때가 많다. 심지어 100여년 전에 자연계에서 분리되어 실험실 스탁으로 자리를 잡았지만 최초에 어느 환경에 분리했는지가 명확히 남아있지 않는 균주도 부지기수이다. 대표적인 것이 실험실 스트레인인 대장균 B 아니겠는가.
Genome project는 어느 한 사람이 진행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다만 내 손으로 직접 fragment assembly를 하고, finishing을 한 미생물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대부분 Sanger sequencing 시대의 유물들이다. 국내 (microbial) genome 시대의 초기 역사가 내 손을 거쳐간 셈이다.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MBEL 55E
Vibrio vulnificus CMCP6
Hahella chejuensis KCTC 2396
Leuconostoc citerum KM20
Paenibacillus polymyxa E681
Escherichia coli BL21(DE3)
Escherichia coli BL21..곧 공개 예정
Escherichia coli W
Hansenular polymorpha (비공개)
최근에는 NGS 기법으로 다수의 샘플을 훑어나가듯이 해독하는 것이 대부분이라 complete genome까지 완수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단, 매우 가까운 생물체의 유전체가 reference로 존재하는 상황이라면 mapping과 서열 조작을 절묘하게(!) 조합하여 completion을 할 수도 있다. 지난주에 작업을 마친 BL21이 바로 그러한 예이다.
Genome project는 어느 한 사람이 진행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다만 내 손으로 직접 fragment assembly를 하고, finishing을 한 미생물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대부분 Sanger sequencing 시대의 유물들이다. 국내 (microbial) genome 시대의 초기 역사가 내 손을 거쳐간 셈이다.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MBEL 55E
Vibrio vulnificus CMCP6
Hahella chejuensis KCTC 2396
Leuconostoc citerum KM20
Paenibacillus polymyxa E681
Escherichia coli BL21(DE3)
Escherichia coli BL21..곧 공개 예정
Escherichia coli W
Hansenular polymorpha (비공개)
최근에는 NGS 기법으로 다수의 샘플을 훑어나가듯이 해독하는 것이 대부분이라 complete genome까지 완수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단, 매우 가까운 생물체의 유전체가 reference로 존재하는 상황이라면 mapping과 서열 조작을 절묘하게(!) 조합하여 completion을 할 수도 있다. 지난주에 작업을 마친 BL21이 바로 그러한 예이다.
2014년 2월 1일 토요일
진공관 및 진공관 앰프에 대한 지식
진공관 앰프를 처음 쓰게 되었다고 해서 갑자기 오디오에 대한 지식을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음질 좋은 소스나 연결 방법, 감상할 곡에 대한 정보를 조금 더 찾아보고 많이 듣는 것이 가장 많이 남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 해도 최소한 자기 앰프에 꽂힌 진공관의 형번 정도는 아는 것이 예의라 생각하여 검색을 조금 해 보기로 했다. 다음의 Promise Audio라는 사이트에 이에 대한 기본 자료가 있다.
[2017년 3월 9일에 추가한 글] 이 사이트를 운영하시던 정호윤님은 Promis Audio라는 명칭을 더 이상 쓰지 않는다. 현재 공식 사이트는 정호윤 오디오(http://triode.co.kr/)이며, 아래의 두 글도 링크를 업데이트하였다.
진공관 형번을 읽자 [1]
진공관 형번을 읽자 [2]
웹 서핑 중에 U Next라는 사이트에서도 좋은 자료를 발견하여 링크를 해 둔다.
초보자를 위한 진공관의 기초지식
A Taste of Tubes(PDF file)
그 외에 초보자를 위한 유용한 자료들이 발견되어 기록을 남긴다.
진공관 앰프 사용법
진공관 앰프와 반도체 앰프의 음질적 특성[1] (출처: 서병익 오디오)
진공관 앰프와 반도체 앰프의 음질적 특성[2]
진공관 앰프와 반도체 앰프의 음질적 특성[3]
진공관 앰프가 TR보다 좋은 소리를 내는 이유
나의 첫번째 진공관 앰프 지음 '14에는 총 4개의 진공관이 꽂혀있다. 출력쪽의 진공관에는 동그라미 안에 Ei라는 글자가 있고 그 바로 밑에 '유고슬라비아'가 인쇄되어 있다. 형번은 찍혀있는대로 읽자면 PCL-86이다. 300 mA, 14.5V 의 히터전류/전압을 갖는 3극 전압증폭관/5극 출력관의 복합관(triode-output pentode)이다. 오디오 전용으로 만들어진 진공관으로, 내부 차폐가 되어 있어서 잡음이 적다고 한다. 지금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이베이 등을 통해 NOS(new old stock)를 구해야 한다. 다른 미국식 이름으로는 14GW8이 있다. 소위 텔레풍켄(Telefunken)이나 뮬라드(멀라드? Mullard) 등이 과거의 명품이었던 모양이다.
PCL86과 동등한 진공관은 ECL86(6GW8)이 있다. 히터전압만 6.3 V로 다른 것을 빼면 다른 특성은 같다고 한다. 비슷한 진공관으로는 ECL82/6BM8이 있지만 오디오/TV 겸용으로 개발된 것이라서 완전히 오디오용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한다. PCL86에 대한 좋은(?) 평, 그리고 초삼결 앰프의 특성에 관한 글은 여기에서 읽을 수 있다.
아직도 많은 진공관이 생산되고 있고, 과거의 제품과 호환이 된다. 이를 "현대관"이라 부르는데, 아쉽게도 PCL86은 현대관이 없다. 현대관에 관한 글을 여기(진공관 이야기)에서 참고해 보자.
또 다른 진공관은 PCL86보다 약간 작은데, NEC라는 마크 말고는 옆면에 인쇄된 글자가 거의 다 지워져서 잘 보이지 않는다. 제작자 이영건 선생님에게 직접 확인하지는 않았지만 지인에 의하면 ECC82(12AU7)일 것이라 한다. 이것은 아직 현대관으로 만들어져 오디오짱 같은 곳에서 구입할 수 있다. 진공관을 어렵게 뽑아서 게터쪽에 인쇄된 글씨를 어렵사리 읽어보니 12DT8이라고 인쇄된 것 같기도 한데 자신이 없다. 나중에 확인한 바에 의하면 12DT8이 맞으며, gain은 60이다. 12AT7도 수치상으로 gain은 같지만, 다른 특성으로 볼 때 12AU7(gain 19)이 12DT8에 더 가깝다는 의견이 있었다. 초단관으로는 매우 유명한 12AX7(ECC83)의 gain은 100이다. 만약 나중에 12A*7 진공관으로 교체하려면, 히터 전압이 다르므로 9번 핀을 잘라내고 꽂으라고 한다. 12DT8의 경우 4-5번이 히터이고 여기에 12.6 V를 걸면 된다. 쌍3극관으로서 내부에 모든 부속이 쌍으로 들어있는데, 두 개의 히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4-5번에 12.6 V를 걸면 각 히터에 공평하게 6.3 V씩이 공급된다. 9번 선은 내부 차폐용으로서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시 이를 접지하면 잡음이 적은 좀 더 안정적인 작동을 한다고 되어 있다. 자료를 찾아보니 이러한 방식의 진공관은 과거에 무거운 변압기를 쓰기 곤란했던 TV회로에서 흔히 발견된다고 한다. 즉 제품을 이루고 있는 진공관들의 히터를 전부 직렬로 연결하여 가정용 전기에 그대로 연결하면 각 진공관에는 균등한 히터 전압이 걸리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다른 쌍3극관은 9번 핀이 히터의 센터 탭에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이러한 진공관은 6.3 V의 히터 전압을 4번과 9번, 그리고 5번과 9번에 연결하라는 뜻이다. 다시 말하자면 트랜스에서 나오는 6.3 V의 선 두 가닥이 있다면 하나는 9번에, 하나는 4-5번에 한꺼번에 연결하면 된다. 혹은 13.6 V가 나오는 트랜스 출력의 두 가닥 중 하나는 4번, 나머지 하나는 5번에 연결하고 9번 핀을 띄워두면 동등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만약 12DT8 전용으로 소켓을 결선하고 13.6V를 내부적으로 연결한 장비라면 9번 핀이 접지에 해당하므로, 여기에 12A* 계열을 연결하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13.6 V를 4번과 5번에 걸었는데 센터탭(9번)이 접지에 닿아있다면 이상하지 않겠는가? 일종의 가상 접지로서 상관이 없을까? 나도 잘 모르겠다. 어쨌든 그림으로 설명하면 간단하지만 말로 설명하려니 복잡하게 되었다.
나중에 앰프의 아래판을 열어보니 초단관의 9번 핀은 아무데도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12AU7을 그대로 꽂아도 히터 전압에는 문제가 없다.
제작자 이영건 선생님에 의하면 50-60년대에 제작된 12AU7을 구해서 12DT8을 대체하면 훨씬 좋은 소리를 경험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가격이 상당히 비싸다!
벌써 교체용 진공관의 수급을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진공관 말고도 트랜스 등 공부할 것은 충분히 많다. 다만 한가지 신경이 좀 쓰이는 것은 충분히 식은 뒤 전원을 넣을 때 한쪽 PCL86의 밑둥 부분이 순간적으로 매우 빨갛게 빛나다가 곧 원상태가 된다는 것(동영상 링크). 진공관의 위치를 바꾸어도 이 현상이 따라다니는 것으로 보아서 회로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음질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이니 일단은 그냥 지켜 볼 생각이다.
진공관을 소켓에서 뽑고 끼우기가 매우 어렵다. 괜히 무리하다가 핀이나 유리 부분이 부서지기라도 하면 곤란하니 호기심은 이제 그만!
다음은 인터넷에서 찾은 PCL86 진공관에 대한 글을 번역한 것이다(원본 링크). PCL86이 그렇게 나쁜 관은 아니라는 근거가 되어서 마음이 좀 놓인다.
PCL86의 불운은 이 진공관이 오디오 장비용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주된 이유는 특성은 거의 같지만 6.3 볼트의 히터 전압을 갖는 ECL86이 저주파 증폭회로(즉 오디오 앰프)에 널리 쓰이면서, TV의 counterpart에 해당하는 PCL86은 마치 오디오 증폭기에는 적합치 않은 2등급품으로 여겨진 때문이다.
이러한 불운을 딛고 최근 PCL86은 진공관 오디오 애호가들에 의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ECL86이 현대관으로 다시 생산되지 않아서 과거의 재고가 거의 다 소진되어 버렸고 가격도 크게 올랐기에, 그 대안으로 PCL86을 찾게 된 때문이다.
그렇다 해도 최소한 자기 앰프에 꽂힌 진공관의 형번 정도는 아는 것이 예의라 생각하여 검색을 조금 해 보기로 했다. 다음의 Promise Audio라는 사이트에 이에 대한 기본 자료가 있다.
[2017년 3월 9일에 추가한 글] 이 사이트를 운영하시던 정호윤님은 Promis Audio라는 명칭을 더 이상 쓰지 않는다. 현재 공식 사이트는 정호윤 오디오(http://triode.co.kr/)이며, 아래의 두 글도 링크를 업데이트하였다.
진공관 형번을 읽자 [1]
진공관 형번을 읽자 [2]
웹 서핑 중에 U Next라는 사이트에서도 좋은 자료를 발견하여 링크를 해 둔다.
초보자를 위한 진공관의 기초지식
A Taste of Tubes(PDF file)
그 외에 초보자를 위한 유용한 자료들이 발견되어 기록을 남긴다.
진공관 앰프 사용법
진공관 앰프와 반도체 앰프의 음질적 특성[1] (출처: 서병익 오디오)
진공관 앰프와 반도체 앰프의 음질적 특성[2]
진공관 앰프와 반도체 앰프의 음질적 특성[3]
진공관 앰프가 TR보다 좋은 소리를 내는 이유
PCL-86에는 "Ei"와 YUGOSLAVIA라는 인쇄가 선명하게 남아있다. 반대쪽 진공관은 폴란드의 POLAM 것으로 여겨진다. |
나의 첫번째 진공관 앰프 지음 '14에는 총 4개의 진공관이 꽂혀있다. 출력쪽의 진공관에는 동그라미 안에 Ei라는 글자가 있고 그 바로 밑에 '유고슬라비아'가 인쇄되어 있다. 형번은 찍혀있는대로 읽자면 PCL-86이다. 300 mA, 14.5V 의 히터전류/전압을 갖는 3극 전압증폭관/5극 출력관의 복합관(triode-output pentode)이다. 오디오 전용으로 만들어진 진공관으로, 내부 차폐가 되어 있어서 잡음이 적다고 한다. 지금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이베이 등을 통해 NOS(new old stock)를 구해야 한다. 다른 미국식 이름으로는 14GW8이 있다. 소위 텔레풍켄(Telefunken)이나 뮬라드(멀라드? Mullard) 등이 과거의 명품이었던 모양이다.
PCL86과 동등한 진공관은 ECL86(6GW8)이 있다. 히터전압만 6.3 V로 다른 것을 빼면 다른 특성은 같다고 한다. 비슷한 진공관으로는 ECL82/6BM8이 있지만 오디오/TV 겸용으로 개발된 것이라서 완전히 오디오용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한다. PCL86에 대한 좋은(?) 평, 그리고 초삼결 앰프의 특성에 관한 글은 여기에서 읽을 수 있다.
아직도 많은 진공관이 생산되고 있고, 과거의 제품과 호환이 된다. 이를 "현대관"이라 부르는데, 아쉽게도 PCL86은 현대관이 없다. 현대관에 관한 글을 여기(진공관 이야기)에서 참고해 보자.
또 다른 진공관은 PCL86보다 약간 작은데, NEC라는 마크 말고는 옆면에 인쇄된 글자가 거의 다 지워져서 잘 보이지 않는다. 제작자 이영건 선생님에게 직접 확인하지는 않았지만 지인에 의하면 ECC82(12AU7)일 것이라 한다. 이것은 아직 현대관으로 만들어져 오디오짱 같은 곳에서 구입할 수 있다. 진공관을 어렵게 뽑아서 게터쪽에 인쇄된 글씨를 어렵사리 읽어보니 12DT8이라고 인쇄된 것 같기도 한데 자신이 없다. 나중에 확인한 바에 의하면 12DT8이 맞으며, gain은 60이다. 12AT7도 수치상으로 gain은 같지만, 다른 특성으로 볼 때 12AU7(gain 19)이 12DT8에 더 가깝다는 의견이 있었다. 초단관으로는 매우 유명한 12AX7(ECC83)의 gain은 100이다. 만약 나중에 12A*7 진공관으로 교체하려면, 히터 전압이 다르므로 9번 핀을 잘라내고 꽂으라고 한다. 12DT8의 경우 4-5번이 히터이고 여기에 12.6 V를 걸면 된다. 쌍3극관으로서 내부에 모든 부속이 쌍으로 들어있는데, 두 개의 히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4-5번에 12.6 V를 걸면 각 히터에 공평하게 6.3 V씩이 공급된다. 9번 선은 내부 차폐용으로서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시 이를 접지하면 잡음이 적은 좀 더 안정적인 작동을 한다고 되어 있다. 자료를 찾아보니 이러한 방식의 진공관은 과거에 무거운 변압기를 쓰기 곤란했던 TV회로에서 흔히 발견된다고 한다. 즉 제품을 이루고 있는 진공관들의 히터를 전부 직렬로 연결하여 가정용 전기에 그대로 연결하면 각 진공관에는 균등한 히터 전압이 걸리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다른 쌍3극관은 9번 핀이 히터의 센터 탭에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이러한 진공관은 6.3 V의 히터 전압을 4번과 9번, 그리고 5번과 9번에 연결하라는 뜻이다. 다시 말하자면 트랜스에서 나오는 6.3 V의 선 두 가닥이 있다면 하나는 9번에, 하나는 4-5번에 한꺼번에 연결하면 된다. 혹은 13.6 V가 나오는 트랜스 출력의 두 가닥 중 하나는 4번, 나머지 하나는 5번에 연결하고 9번 핀을 띄워두면 동등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만약 12DT8 전용으로 소켓을 결선하고 13.6V를 내부적으로 연결한 장비라면 9번 핀이 접지에 해당하므로, 여기에 12A* 계열을 연결하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13.6 V를 4번과 5번에 걸었는데 센터탭(9번)이 접지에 닿아있다면 이상하지 않겠는가? 일종의 가상 접지로서 상관이 없을까? 나도 잘 모르겠다. 어쨌든 그림으로 설명하면 간단하지만 말로 설명하려니 복잡하게 되었다.
나중에 앰프의 아래판을 열어보니 초단관의 9번 핀은 아무데도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12AU7을 그대로 꽂아도 히터 전압에는 문제가 없다.
제작자 이영건 선생님에 의하면 50-60년대에 제작된 12AU7을 구해서 12DT8을 대체하면 훨씬 좋은 소리를 경험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가격이 상당히 비싸다!
벌써 교체용 진공관의 수급을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진공관 말고도 트랜스 등 공부할 것은 충분히 많다. 다만 한가지 신경이 좀 쓰이는 것은 충분히 식은 뒤 전원을 넣을 때 한쪽 PCL86의 밑둥 부분이 순간적으로 매우 빨갛게 빛나다가 곧 원상태가 된다는 것(동영상 링크). 진공관의 위치를 바꾸어도 이 현상이 따라다니는 것으로 보아서 회로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음질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이니 일단은 그냥 지켜 볼 생각이다.
진공관을 소켓에서 뽑고 끼우기가 매우 어렵다. 괜히 무리하다가 핀이나 유리 부분이 부서지기라도 하면 곤란하니 호기심은 이제 그만!
다음은 인터넷에서 찾은 PCL86 진공관에 대한 글을 번역한 것이다(원본 링크). PCL86이 그렇게 나쁜 관은 아니라는 근거가 되어서 마음이 좀 놓인다.
이러한 불운을 딛고 최근 PCL86은 진공관 오디오 애호가들에 의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ECL86이 현대관으로 다시 생산되지 않아서 과거의 재고가 거의 다 소진되어 버렸고 가격도 크게 올랐기에, 그 대안으로 PCL86을 찾게 된 때문이다.
진공관 판매처(국외)
- TubeDepot
- thetubestore.com 제조사에 따른 진공관 분류(링크 - 현재 생산되는 것들) 용도에 따른 진공관 분류(링크)
- ruTubes.com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