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시료의 16S rRNA sequence를 알아내기 위해 표적을 몇 개의 겹치는 PCR product 형태로 들어내어 염기서열을 판독한 경우, 또는 재조합 벡터를 새로 만든 다음 확인을 하고자 할 때 Sanger sequencing 기법은 여전히 필요하다. 단일 크로마토그램에서 염기서열을 추출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몇 개 되지 않는 크로마토그램을 조립할 일도 종종 겪을 것이다.
생명정보학에 대한 전문적인 기법을 아직 습득하지 못한 사람이 이러한 상황에서 비용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쓸 수 있는 도구가 그렇게 많지는 않다. 서너 개의 크로마토그램을 조립하기 위해 2021년에 Phrap 소스를 다시 꺼내어 설치하는 것은 가혹한 면이 없지 않다. 아니, 내 컴퓨터에 phrap이 깔려 있기는 한가?
$ phrap phrap phrap phrap version 1.080812 phrap version 1.080812 Reading parameters ... 1.008 Mbytes allocated -- total 1.008 Mbytes Run date:time 210714:081805 Run date:time 210714:081805 FATAL ERROR: Sequence files must be specified on command line. See documentation.
아직도 굳건하게 남아 있다. 그러고 보니 Staden package도 여전히 배포 중이다. 1996년에 나왔던 Staden sequence analysis package에 관한 논문은 여기에서 볼 수 있으며 최신 업데이트는 20년이 지난 2016년(v2.0.0b11)까지 이루어진 상태이다. 언제 쓸 일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윈도우용 버전을 설치해 보았다. Staden package와 관련하여 기억해 둘 것은 "contig"라는 용어가 원래 어디에서 유래했는지를 잘 설명해 주기 때문이다(링크). 참고로 Staden이 근무했던 영국의 MRC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는 일종의 출연연 또는 국가연구소로서 현대 분자생물학 분야에서 너무나 많은 성과를 남겼다. Staden의 사진을 한번 찾아 보았다.
![]() |
Roger Staden (LMB). "Staden devised the first DNA sequencing software." 출처: What is biotechnology? Computers, Databases and Automation. |
Staden package 설치 화면. |
Tracy: basecalling, alignment, assembly and deconvolution of Sanger chromatogram trace files. BMC Genonmics 21, article no. 230 (2020) https://github.com/gear-genomics/tracy
Tracy 자체는 명령행에서 돌아가는 backend이고 별도의 웹사이트인 GEAR Genome Analysis Server(https://www.gear-genomics.com/)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논문에 소개된 web application은 다음의 6개이지만, 실제로 방문을 하면 훨씬 더 많은 서비스가 있다. 오늘 확인한 바에 따르면 무려 16개의 application이 있으며,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 마치 세련되게 다시 꾸민 EMBOSS explorer를 보는 느낌이다.
- Teal: Viewing a trace file
- Sage: Aligning a trace to a reference sequence
- Indigo: Decomposing a trace, variant calling and annotation
- Pearl: Patching FASTA sequences based on a local trace assembly that optionally uses a reference sequence
- (Auxiliary) Sabre: a MSA viewer
- (Auxiliary) Wily-DNA-Editor
댓글 1개: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BioEdit을 로 사용했는데 이런것도 있는 줄 몰랐네요!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