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10일 화요일

6N1 + 6P1 싱글 앰프의 자작 마무리

손바닥만한 class D 앰프와 SMPS만 있으면 좌우 채널에서 각각 50 와트가 넘는 출력을 뽑아낼 수 있는 오디오 앰프가 즐비함에도 불구하고 진공관 앰프를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부품도 비싸고, 생산 중단된 구관은 점점 구하기가 어려워지며, 고전압을 다루어야 하기에 감전 사고도 잦다. 섀시 가공도 해야 하고, 전력 소모와 발열도 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서 고생을 하는 이유는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즐거움과 보람이 있기 때문이다. 진공관은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출력 트랜스를 필요로 한다. 이는 섀시를 제외하면 부품값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차지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직접 만드는 것이 가능한 유일한 부품'이기도 하다. 따라서 출력 트랜스를 만드는 것을 진공관 앰프 제작 전 과정 중 백미로 꼽는 사람도 적지 않다.

3월말에 착수하여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앰프 보드와 진공관으로 구성된 키트를 구입하고, 전원트랜스는 주문제작하되 출력트랜스는 기성품 전원트랜스를 개조하는 것으로 일단 앰프 제작을 시작하였다. 못쓰는 컴퓨터 케이스를 가공하여 섀시를 삼았다. 트랜스 개조를 하면서 손에 상처가 나기도 하고, 220 V를 잘못 다루어서 PCB의 동박을 날려버리기도 하면서 결국은 소리를 내는데 성공한 것이 5월 중순. 그 다음 도전은 R-코어에 직접 에나멜선을 감아서 출력트랜스를 만드는 일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권선기를 먼저 만들어야 했다. 다음의 사진은 권선기의 최종 버전으로서 1차 코일을 감을 때 쓰던 것과는 구조가 조금 다르다.




지난 주말, 낑낑대면서 출력트랜스를 완성하였다. 임피던스비는 5 kOhm : 8 Ohm이다. 리드선을 처리하는 좀 더 합리적인 방법과 코어를 맞물리는 법, 그리고 다 만들어진 트랜스를 섀시에 고정하는 방법을 좀 더 고민해야 한다.


이를 드디어 사무실에서 사용하던 앰프에 장착하기에 이르렀다. 전원선을 뽑아두었지만 평활용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기로 인하여 감전이 되는 바람이 충격이 컸다.




전원트랜스의 코어를 개조하여 출력트랜스로 사용하던 것과 비교하면 분명히 넓은 대역을 편안하게 재생하는 것으로 느껴진다. 측정기를 사용하면 객관적으로 어떤 점이 개선되었는지를 확실히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려면 어떠랴? 나의 손으로 직접 앰프를 조립했다는 보람은 음질의 개선으로 얻는 이익을 훨씬 상회하기 때문이다. 특이 전체 과정 중에서 출력트랜스를 만드는 일이 가장 재미있었다. 이 일이 가능하도록 많은 정보와 도움을 주고 R-코어를 제공한 곳은 제이앨범이다. 그곳에는 제작 진행 과정에 따른 기록을 상세하게 남겨 두었다.

진공관 앰프를 만들고자 인터넷의 여러 카페를 기웃거리는 사람에게 용기를 주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런 일 하지 말라고 권하는 사람도 있다. 제이앨범은 철저히 전자에 해당하는 곳이다. 이론과 실제를 미처 몰라도 좋으니 일단 부딛혀 보라는 제안을 하는 곳이다. 진공관 앰프 자작을 권하지 않는 사람의 심정은 무엇일까? 너무 고생스러우니까? 아니면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나도 모른다.

어느덧 보유한 진공관 앰프는 총 4 대가 되었다(하나는 헤드폰 앰프). 이제 이론을 소홀히 할 수는 없는 시기가 되었으니 DHT 사운드의 기술포럼 - 자작교실의 글들을 꼼꼼하게 읽어봐야 되겠다.

만약 앞으로 새로운 시도를 해 보고자 한다면? SMPS를 이용하여 B+ 전압을 만드는 것에 관심이 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