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0일 목요일

Fritzing 가지고 놀기

(ChatGPT의 대답) Fritzing전자 회로 설계와 프로토타입 제작을 돕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주로 전자 DIY, 아두이노 프로젝트, 메이커 교육 등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아두이노 나노를 이용한 MIDI 컨트롤러를 만들기 위해 Fritzing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뒤 만능기판(perfboard)를 펼쳐놓고 연습을 하는 중이다. 흔히 무료라고 알려져 있으나 나는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8 유로를 기부하였다. 

대충 만든 첫 작품. 아직 미완성이고 분기 처리도 엉망이다.

브레드보드를 기준으로 부품 배치 및 배선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설계가 되어서 그런지 만능기판은 다루기가 제법 까다롭다. 부품 리드를 1:1로 잇는 것은 그런대로 잘 된다. 아니다, 그렇지만도 않다. 기판 위에 부품을 올린 뒤 마우스 포인터를 부품에 가져가면 닿는 위치에 따라서 부품이 하이라이트되는 방식이 몇 가지로 바뀐다. 부품 전체를 검정색 점선이 둘러싸기도 하고, 부품 전체가 어두워지기도 하며, 리드 끝점의 색깔이 최소한 두 가지로 바뀌기도 한다. 각 상태에 따라서 마우스 드래그의 동작이 달라지므로 아주 조심해야 한다. 위치 이동, 배선, 리드 길이 변경 등.

이것도 쉽지 않은데, 한 포인트에서 전기적 접속을 이루면서 여러 곳으로 분기하게 만드는 것이 어렵다. 원래 그렇다고 한다! 시각적으로 그렇게 보이도록 만들 수는 있지만, Frtizing 안에서는 실제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다음의 예를 보자. 

수직으로 뻗은 짧은 노란색 와이어의 위 아래 끝점이 주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실제 연결이 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인쇄를 해서 회로를 실제로 꾸미는 데 가이드로 이용할 수는 있지만, 이런 상태로는 Fritzing 안에서 이를 회로도나 PCB로 전환하는 것은 곤란하다. ChatGPT에 의하면 부품('Core Parts') 중에서 solder point나 pad를 찾아서 이용하라고 한다. 말은 쉬운데 이런 부품이 목록에서 눈에 확 들어오는 것이 아니다. 약간 다른 모양의 것을 불러다 놓은 다음 핀 수를 줄인다든지 하는 방법을 택해야 하는 것 같다.

시작이 잘못되었다! 브레드보드에서 먼저 부품 배치와 와이어링을 마친 뒤, 회로도로 전환하여 점검한 다음에 만능기판으로 넘어가는 것이 더 합리적인 방법으로 보인다. Fritzing이 만들어진 근본 취지를 생각하면 이런 순서로 접근하는 것이 백번 옳다. 다음번 프로젝트에서는 이러한 권장 방법을 쓰도록 하고, 이번에는 만능기판으로 시작했으니 일단 끝을 보련다. 회로 점검은 오직 눈으로 하는 수밖에는...


댓글 없음: